[연합뉴스 자료사진]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TV·라디오 방송에 국가안보 프로그램 편성 의무화, 토지 매매 문서에 국가안보 조항 삽입, 야권 인사 47명 기소 최대 국가보안법 재판 개시, '중국 교육과정' 초중고 첫 설립 허가….
모두 홍콩에서 지난 2월 한 달 만에 벌어진 일이다.
26년 전 홍콩의 주권이 영국에서 반환될 때 중국은 향후 50년간 홍콩에 고도의 자치를 보장하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3년 전 중국이 제정해 홍콩에 시행한 홍콩국가보안법으로 야권은 궤멸했고 집회와 시위는 사라졌으며 이민 붐 속에서 20만 명이 떠났다.
그런 상황에서도 당국의 '정지 작업'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모양새다.
이와 관련해 1일 평범한 30대 홍콩인 웡모 씨와 언론인 출신 정치 평론가 조니 라우(70) 씨의 생각을 들었다.
◇ "중국이 홍콩에 대한 50년 자치 보장 약속 깼다"
웡씨는 "중국이 50년은 홍콩의 자치 보장하겠다고 해놓고 깼다. 그런데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며 옅은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지금 민주 진영 47명에 대해 재판을 하고 있는데 이제 2019년 시위 관련해 기소, 재판 좀 안 했으면 좋겠다"며 "매일 그런 뉴스가 나오니 해외 친구들은 다들 홍콩이 안전하냐고 물어본다"고 말했다.
웡씨는 2019년 수백만 명이 참여한 홍콩 반정부 시위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는 "부모님이 반대해 시위 현장에는 못 나갔다. 그러나 주변에 참가한 친구들이 있고 시위가 벌어진 이유를 이해한다"며 "그 친구들은 다행히 모두 체포는 안 됐지만, 일부가 영국, 대만, 호주로 이민을 갔다. 체포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라 변하는 홍콩에 있기 싫어했다. 그 친구들이 돌아올지는 모르겠다"고 밝혔다.
이어 "1997년 홍콩 주권이 반환됐을 때는 우리 친척 상당수가 캐나다, 호주, 대만으로 이민 갔고 지금까지 안 돌아오고 있다"며 "그런데 그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국가보안법 시행 후 떠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모두가 이민을 떠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나는 일상을 살아야 한다"며 "더이상 나쁜 일 없이 경제라도 잘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웡씨는 2021년 12월 입법회(의회) 선거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중국이 '애국자가 다스리는 홍콩'을 기조로 홍콩 선거제를 전면 개편하면서 당시 선거에는 친중 진영 후보만 나섰고 투표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그는 "그 입법회 선거에는 우리 부모님도 투표하지 않았다. 다들 관심이 없었다. 뽑을 사람이 아무도 없었기 때문"이라며 "우리 부모님은 2019년 시위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그렇다고 친중도 아니다"고 말했다.
라우씨는 "전체적으로 입법회는 이미 정부의 일을 감독하기보다는 정부의 이슈를 지지하는 거수기가 돼 버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찌 됐든 홍콩에서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의 특징은 사라져가고 있다"고 덧붙였다.